홈 > 고객/기술지원 > Q & A
i.MX8M | MV8895 | MV8890 | MV7420 | MV5260 | MV5422 | MV4412TAB | MV4412 | S5PV210 | iMX6Q | AM3358
Android | Linux | Windows CE | Firmware
 
헥스파워시스템입니다. v210 커널 zImage 오류
등록인 : 제이크 |

V210 보드에 제공된 커널을 재컴파일 하여

다운로드하면

Starting kernel... 다음으로 진행되지가 않네요.. 확인 부탁드립니다.

 

작업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mv-v210_android_kernel.tar.gz

 

#tar zxvf  mv-v210_android_kernel.tar.gz

#cd kernel_2.6.32_v210

 

#make menuconfig

V210 환경으로 불러오고

"Load an Alternate Configuration File" 메뉴 실행 arch/arm/configs/mvv210_defconfig

 

 USB Support 지원을 위해서 추가한 모듈
 Device Derviers -> USB support ->
  - Support for Host-side USB
   - USB device class-devices(DEPRECATED)
 -> USB support -> USB Serial Convert support
   - USB Serial Console device support
   - USB Generic Serial Driver
   - USB FTDI Single Port Serial Driver
   - USB Prolific 2303 Single Port Serial Driver

다음과 같은 부분을 선택하고

 

저장하고나서

 

 

 make distclean
 make mvv210_defconfig
 make
컴파일이 완료되면
arch/arm/boot/ 디렉토리에 zImage 파일이 생성된 파일을 fastboot 시 적용하면

커널부팅 부분에서 멈춰있네요..

문제는 기존에 있던 파일로 해보면 되는데 말이죠..

 

그래서 확인하여 보니

좀전에 컴파일하여 나온 파일의 크기는 2.51GB이고

 

원래 컴파일 되어 있던 파일의 크키그는 3.5GB 이네요.

확인 부탁립니다.

 

제공된 메뉴얼에 나와 있는대로 진행하였는데도 그렇네요..

 

그리고 지난번에 문의 드렸던 ICS 4.0.3 컴파일문제는 필요한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발생되는 문제였습니다.

메뉴얼에 필수 패키지에 대한 설치 여부를 확인하도록 넣어 놓는 것은 어떠신지요??

gperf, git, jpython, jdk1.6 이라던지

그리고, 컴파일시에 필요한 최소한의 리눅스 용량 공간도 넣어 주시는게 좋을듯 싶습니다.

최신버전에 따른 파일 명칭이 바뀐것도 메뉴얼에 적용시켜주셔야 할듯 합니다.

 

관련 포스트
RE:헥스파워시스템입니다. v210 커널 zImage 오류
덧글 0 | 엮인글 0
 





 
    9 / 2,663,398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3동 235번지 한신IT타워 1004호 TEL. 02-3283-0101 FAX. 02-3283-0160
사업자등록번호 : 116-81-51889 대표자 : 이현재 E-MAIL : sale@microvision.co.kr
COPYRIGHT 2004 (주)마이크로비젼 ALL RIGHTS RESERVED.
%3Cul+class%3D%22Klocation%22%3E%3Cli+class%3D%22first%22%3E%3Ca+href%3D%22..%2Fhome%2F%22%3EHOME%3C%2Fa%3E%3C%2Fli%3E%3Cli%3E%3Ca+href%3D%22..%2Fhome%2Fsub03.php%22%3E%EA%B3%A0%EA%B0%9D%2F%EA%B8%B0%EC%88%A0%EC%A7%80%EC%9B%90%3C%2Fa%3E%3C%2Fli%3E%3Cli%3E%3Ca+href%3D%22..%2Fhome%2Fsub03.php%3Fmid%3D51%22%3EQ+%26+A%3C%2Fa%3E%3C%2Fli%3E%3C%2Ful%3E